움직일 때 골반에서 '뚝' 소리… 위험한 상태일까?

이해나 기자 2023. 11. 30. 0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별다른 통증은 없는데 걸을 때 자꾸 골반에서 '뚝' 소리가 나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

갑자기 움직여서, 나이 들어서 등 여러 이유를 꼽으며 소리 원인을 추정하곤 한다.

발음성 고관절은 허리 앞쪽과 다리뼈를 연결하는 장요근이 선천적 또는 후천적 원인에 의해 짧아지거나 굵어졌을 때 나타난다.

그리고 걸을 때 골반 옆쪽에서 뭔가 걸리거나 관절이 빠졌다가 들어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별다른 통증이 없어도 걸을 때마다 골반에서 '뚝' 소리가 난다면 발음성 고관절 때문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별다른 통증은 없는데 걸을 때 자꾸 골반에서 '뚝' 소리가 나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 갑자기 움직여서, 나이 들어서 등 여러 이유를 꼽으며 소리 원인을 추정하곤 한다. 그런데 이 현상은 '발음성 고관절' 때문일 수 있다.

발음성 고관절은 허리 앞쪽과 다리뼈를 연결하는 장요근이 선천적 또는 후천적 원인에 의해 짧아지거나 굵어졌을 때 나타난다. 이 근육이 엉덩이 바깥쪽에 만져지는 돌출 부분(대전자부) 뼈를 긁게되며 소리가 난다.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 양쪽 엉덩이뼈 사이 길이가 짧고 상대적으로 골반 외측 폭이 넓어 인대 긴장도가 높아지기 쉽기 때문이다.

발음성 고관절은 대부분 통증 없이 소리만 나고, 몸에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소리와 함께 통증까지 느껴진다면 힘줄이나 근육이 손상됐을 수 있어 치료를 고려한다. 특히 무릎 바깥쪽에 있는 힘줄인 장경대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 부위에 점액낭염(관절 주위의 막인 점액낭에 발생한 염증)이 발생하면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걸을 때 골반 옆쪽에서 뭔가 걸리거나 관절이 빠졌다가 들어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소염제를 복용하거나 물리치료 등을 통한 증상 개선이 필요하다.

발음성 고관절은 ▲무리한 운동 ▲보행 시 잘못된 동작 ▲앉을 때 자세 등이 원인이다. 특히 다리를 꼬아서 삐딱하게 앉는 자세가 인대 변형을 일으킨다. 발음성 고관절은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개선할 수 있다. 의자에 앉을 때는 골반을 의자 안쪽에 최대한 붙이고 허리를 반듯하게 세운다. 오랫동안 서서 일하면 짝다리를 짚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고관절 인대뿐 아니라 골반 자체 틀어짐까지 유발할 수 있다. 항상 양쪽 다리에 힘을 비슷하게 분산시킨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게 좋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