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의 기본 단위는 '기업'이다. 따라서 기업 경쟁력을 정의하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경쟁에 져 망한 기업이 경쟁력이 낮은 기업이다. 그러나 국가 경쟁력의 정의는 쉽지 않다. 경쟁에서 탈락해 국가가 망했다는 소리를 들어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국제 정치학에서 인용되는 '국력(國力) 방정식'은 흥미롭다. 한 나라의 국력(P)은 국가의 물리적 특성(C),경제력(E),군사력(M)으로 구성된 하드웨어에 '국가 전략(S)'과 '국민 의지(W)'로 이루어진 소프트웨어를 곱해서 얻어진다. '국토 면적과 인구 규모(C)'에서 유리할지라도 '전략과 의지'가 결여되면 국력으로 결집되지 않는다.

경제력과 군사력도 종국적으로 '전략과 의지'에 의존하기 때문에 국력의 원천은 결국 '소프트웨어'라 할 수 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순위도 국력 방정식의 '전략과 의지'에 대한 경제적 측면에서의 정량적 평가에 다름 아니다. 상식적 차원에서 국가 경쟁력과 국력이 별개일 수 없기 때문에,국가 경쟁력은 '전략과 의지'의 범주에서 정의할 수 있다.

그동안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구조조정과 제도 개혁'이 제시됐지만 이들 개혁은 구조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늘 '저항'을 유발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를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사실은 저항을 순화시키기 위한 '설득'이다. 따라서 '새로운 시각'에서 국가 경쟁력을 봐야 한다. '국가 브랜드' 가치를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에 눈을 돌려야 한다. 기업이건 국가이건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은 '가치혁신 전략'이다. 한국의 제품과 문화에 대한 충성심(loyalty)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는 국격(國格)을 높이는 무형의 성장 동력이기도 하다.

외국인의 눈에 한국은 어떻게 비치고 있는가. 국제평가기관 '안홀트'에 의하면 작년 우리나라 국가 브랜드 순위는 50개국 중 33위다. 경제 규모 13위에 비하면 우리나라 국가 브랜드 순위는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한국의 브랜드 가치가 성공한 예술인과 스포츠 선수,글로벌 유수 기업보다 못하게 비쳐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낮은 국가브랜드 가치는 직 · 간접적 손실을 초래한다.

해외로부터의 투자 · 관광 · 두뇌 유치가 제약되고,해외에서 '메이드 인 코리아'가 제 값을 받지 못한다. 비슷한 품질인데도 선진국의 70% 수준에 팔리는 것은 '수모'가 아닐 수 없다.

국가브랜드위원회의 '경제한류,세종학당' 등 한국의 이미지 마케팅 전략은 적절하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을 찾아내 이를 제거하는 것이다. 외국인에 대한 여론 조사 등을 통해 그 답은 나와 있다. '북핵,국회 그리고 노동'으로 집약된다. 국회 폭력을 빚은 정치권과 폭력 시위를 벌여 온 노동권은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국격을 깎아내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치권의 변화는 긍정적이다. 민주당은 대기업과의 대립 구도를 접고 '포용적 성장'과 '기회의 복지'를 지향하는 '새로운 진보'를 모색하고 있다. 국회 폭력과 정쟁은 비판을 위한 비판에서 나오기 때문에,비판 세력을 넘어 '대안 세력'으로 자리매김하게 되면 정치 생산성은 올라가게 돼 있다.

노동조합은 투쟁 일변도 노동운동을 자제해야 한다. 기업이 무너지면 노조도 존립 기반을 잃게 된다는 식의 고전적 논리만으로는 부족하다. 폭력 시위로 얼룩진 거리가 여과 없이 전파를 타는 순간 한국의 브랜드 가치는 여지 없이 파괴되기 때문이다. 노조도 그 피해자다. 국가라는 공동체는 무엇인가? 협력해서 선(善)을 이루는 것 아닌가? 대한민국의 구성원 모두 격조 높은 대한민국을 만들 의무가 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대표